검색결과 리스트
지식노마드의 책들/돈을 디자인하라에 해당되는 글 1건
- 2013.12.13 (신간)돈을 디자인하라(평생 돈이 마르지 않는 현명한 금융 소비자의 전략)
글
(신간)돈을 디자인하라(평생 돈이 마르지 않는 현명한 금융 소비자의 전략)
기획부터 쓰고 다시 고치고 하는 데 1년 걸린 책입니다. 예상보다 오래 걸린 가장 큰 이유는 저자 분이 너무 진지하기 때문이었습니다.^^
조철호 저자를 아는 지인들은 재무 설계 분야에서 ‘재야의 숨은 고수’라고 부릅니다. 고객 한 사람을 상담할 때 보통 5시간을 하고, 가장 길게 상담한 고객의 경우 12시간씩 합니다. 단지 돈 관리 스킬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, 라이프스타일과 생애 계획을 파악하고 나서야 그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재무 계획을 세우기 때문입니다. 이렇게 전체 생활을 파악한 다음에 정확한 수입과 지출을 파악하고, 이어서 무엇을 줄이고 무엇은 늘려야 할지, 결혼과 내 집 마련 자금, 은퇴 자금은 어떤 방법으로 어떻게 배분할지에 대해 차근차근 설명하고, 토의해서 재무 설계안을 만듭니다.
(제가 직접 재무 상담을 받지는 않았지만, 글과 글에 소개된 사례를 보면 자연스럽게 그려지는 모습입니다.)조철호 지음 / 최윤식(2030 대담한 미래 저자) 서문 / 324쪽
책 정보 더 보기 : 예스24, 교보문고, 인터파크, 알라딘
이 책의 기획 의도에 비추어 내용 구성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이렇습니다.
1. 재테크가 아니라 재무설계, 즉 한방에 돈 걱정을 해결할 비결은 없으니 차근차근 준비하고 노력해서 재정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.
그래서 한 사람(가정)의 생애 전체에 걸쳐서 돈 걱정을 덜고 안정된 삶을 누리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은 가능하면 다 담았습니다.
2. 강한 의지가 없더라도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.
예를 들어 보통사람들로서는 가계부 쓰기만 해도 몇 년 이상 지속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. 저자는 가계부를 쓰지 않고, 은행 계좌에 SMS 서비스를 신청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지출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. 저자 스스로 실행해보고 고객들에게도 권해서 효과를 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. 그리고 투자 전문 지식이 없더라도 실행할 수 있는 방법 등 실제로 활용한 방법들을 사례와 함께 제시합니다.
3. 큰 돈이나 자산이 없는 보통 사람을 위한 돈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.
연봉 몇 천만 원이 수입의 전부인 사무직, 수입이 들쭉날쭉한 프리랜서, 갓 결혼한 신혼부부, 늦둥이 교육비를 걱정하는 부부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재무 설계의 방법을 설명합니다.
초고가 너무 진지했던 것은 큰 틀과 원칙을 잘 알아야 돈을 잘 관리할 수 있다는 욕심이 앞섰기 때문입니다. 이후 원고를 다듬어 가는 과정에서 기본 원칙과 방법론은 유지하되 최대한 사례를 들어가면서 읽기 쉽게 고쳐 썼습니다. 그래서 출판사와 저자 모두 만족했습니다.
하지만 이 책의 문제 의식은 진지합니다. "짜릿한 것을 강조하면 당장 눈 앞의 판매가 늘 수 있을지 모르지만, 편법이 아니라 정석적인 길을 간다”는 저자의 평소 소신과 출판사의 기획 의도가 만난 결과입니다. '저성장과 장기불황 시대에 돈 문제를 대하는 기본 관점과 방법을 잘 정리하자, 그리고 보통사람도 약간의 결심만 하면 실천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구체화한다.' 이런 저희의 의도를 독자들은 어떻게 평가해줄지 기대 반, 걱정 반으로 내놓습니다.
이 책보다 악착같이 돈을 모으는 방법을 소개하는 책은 많다. 이 책보다 화끈한 투자 비결을 알려주는 책도 많다. 하지만 이 책처럼 긴 호흡으로 삶의 가치와 돈 문제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점을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책은 드물다.
세상에는 돈이 있어야만 할 수 있는 일이 있고, 돈이 있어도 할 수 없는 일이 있다. 하지만 인생사 대부분은 돈이 어떤 방식으로든 연결되어 있다. 혼란스러운 금융시장에서 방향을 제대로 잡고 인생이란 긴 항로에서 개인들이 금융자산에 대한 관리원칙을 세우고 실천하는데 나침반이 될 만한 책이다. -전병국(하나대투증권 상무)
'지식노마드의 책들 > 돈을 디자인하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신간)돈을 디자인하라(평생 돈이 마르지 않는 현명한 금융 소비자의 전략) (0) | 2013.12.13 |
---|